혈압약 종류 – 5대 계열별 작용 원리와 특징 완전 정리

혈압약 종류 – 5대 계열별 작용 원리와 특징 완전 정리

고혈압은 ‘조용한 살인자’라고 불릴 정도로 위험한 질환입니다. 별다른 증상이 없어도 혈압이 높으면 심장, 뇌, 신장 등 주요 장기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죠. 그래서 고혈압 진단을 받으면 대부분의 경우 약물 치료를 시작하게 되는데, 처음에 맞닥뜨리는 고민이 바로 “혈압약 종류가 너무 많아서 뭐가 뭔지 모르겠다”는 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5대 혈압약 계열의 특성과 대표 약물, 복용 시 주의점까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혈압 상승물질 생성을 막아 혈압을 낮춘다

ACE 억제제는 혈관을 수축시키는 안지오텐신Ⅱ의 생성을 억제해 혈압을 낮춥니다. 혈관을 확장시키고, 심장과 신장 보호 효과도 있어서 당뇨, 신장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자주 처방됩니다.

대표 약물:

  • 에날라프릴 (Enalapril)
  • 캅토프릴 (Captopril)
  • 라미프릴 (Ramipril)
  • 페린도프릴 (Perindopril)

장점:

  • 당뇨·심부전 환자에게 보호 효과
  • 심근경색 후에도 좋음

주의점:

  • 마른기침 부작용이 흔함
  • 임산부 금기
  • 신기능 저하 환자는 주의
 

2. ARB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ACE 억제제보다 부작용 적고, 요즘 가장 많이 쓰이는 혈압약

ARB는 ACE 억제제와 비슷한 효과를 가지면서도 기침 같은 부작용이 적어 현재 가장 많이 처방되는 혈압약입니다. 혈관에 직접 작용해 안지오텐신Ⅱ 수용체를 차단합니다.

대표 약물:

  • 로사르탄 (Losartan)
  • 텔미사르탄 (Telmisartan)
  • 발사르탄 (Valsartan)
  • 올메사르탄 (Olmesartan)

장점:

  • 마른기침 거의 없음
  •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게 효과적
  • 복용 편의성 좋음 (하루 1회)

주의점:

  • 칼륨 수치 증가 위험
  • 드물지만 어지럼증 발생 가능
  • 신장기능 모니터링 필요
 

3. 칼슘채널 차단제 (CCB)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는 대표 약물

CCB는 칼슘의 세포 내 유입을 막아 혈관 평활근의 수축을 방지함으로써 혈압을 낮춥니다. 노인, 흑인, 단순 고혈압 환자에게 효과가 특히 좋고, 다른 계열과 병용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대표 약물:

  • 암로디핀 (Amlodipine)
  • 펠로디핀 (Felodipine)
  • 니페디핀 (Nifedipine)
  • 라시디핀 (Lacidipine)

장점:

  • 효과가 빠르고 확실함
  • 하루 1회 복용으로 편리
  • 부정맥 조절에도 사용 가능

주의점:

  • 발목 부종 자주 발생
  • 얼굴 붉어짐, 두통
  • 심박수 증가 가능성
 

4. 이뇨제 (Thiazide 계열 중심)

몸 안의 나트륨·수분을 배출해 혈압 낮춤

이뇨제는 신장에서 나트륨과 수분을 배출시켜 체액량을 줄이고, 그로 인해 혈압을 낮춥니다. 특히 심부전, 부종 동반된 고혈압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대표 약물:

  • 히드로클로로티아지드 (HCTZ)
  • 클로르탈리돈 (Chlorthalidone)
  • 인다파마이드 (Indapamide)

장점:

  • 저용량만으로도 혈압 조절 효과
  • 가격 저렴
  • ARB나 CCB와 병용 시 상승 효과

주의점:

  • 저칼륨혈증, 탈수
  • 요산 수치 상승 → 통풍 유발 가능
  • 고령자에게는 어지럼증 유의
 

5. 베타차단제 (Beta-blocker)

심박수를 낮춰 혈압을 떨어뜨림

베타차단제는 심장 박동을 느리게 하고 수축력을 낮춰 혈압을 떨어뜨립니다. 특히 심장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 1차 선택약이 됩니다. 요즘은 혈압 조절보다는 부정맥, 협심증, 심부전에 동반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요.

대표 약물:

  • 아테놀올 (Atenolol)
  • 카르베딜롤 (Carvedilol)
  • 비소프롤롤 (Bisoprolol)
  • 네비볼롤 (Nebivolol)

장점:

  • 심근경색, 협심증 병력 환자에게 탁월
  • 심장 보호 효과
  • 맥박수 조절 가능

주의점:

  • 서맥, 무기력
  • 천식·COPD 환자에게 금기
  • 갑작스러운 중단 시 혈압 급등 가능

혈압약 종류별 간단 비교표

계열 작용 방식 대표 약물 주요 부작용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Ⅱ 생성 억제 라미프릴, 캅토프릴 마른기침, 신기능 저하
ARB 안지오텐신Ⅱ 수용체 차단 로사르탄, 텔미사르탄 고칼륨혈증, 어지럼증
CCB 칼슘 유입 억제 → 혈관 이완 암로디핀, 니페디핀 발목 부종, 얼굴 붉어짐
이뇨제 수분·나트륨 배출 HCTZ, 클로르탈리돈 저칼륨, 탈수, 통풍 유발
베타차단제 심박수 감소 카르베딜롤, 비소프롤롤 서맥, 무기력, 천식 악화

혈압약 복용 시 꼭 기억해야 할 5가지

  1. 의사 지시 없이 절대 중단하지 않기
  2. 같은 시간에 매일 복용 → 특히 아침 복용이 일반적
  3. 복용 중 어지럼증, 부종, 기침 생기면 병원 상담
  4. 이뇨제 복용 시 충분한 수분 섭취 필요
  5. 다른 약(진통제, 감기약) 복용 시 상호작용 확인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