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성 신경병증 증상과 원인, 진단 및 관리법 총정리
- 건강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들
- 2025. 3. 26. 21:44
당뇨병성 신경병증 증상과 원인, 진단 및 관리법 총정리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은 당뇨병의 합병증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혈당이 장기간 높게 유지되면서 말초신경과 자율신경에 손상을 주는 상태입니다. 전체 당뇨 환자의 약 50% 이상에서 나타나며, 감각 이상, 저림, 통증, 무감각, 소화장애, 발기부전 등 신체 여러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 당뇨병성 신경병증이란?
-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신경에 혈류 공급이 감소하고 대사 독성 물질이 축적되어 신경세포가 손상됨
- 말초신경, 자율신경, 운동신경 등 전신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초기에는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내다가 신경이 손상된 후 뒤늦게 통증이나 무감각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음
2. 주요 증상 – 발생 부위별 정리
✅ ① 말초신경병증 (가장 흔한 형태)
증상 설명
손, 발 저림·화끈거림 | 특히 발바닥과 손끝부터 시작되어 점차 위로 진행 (양말·장갑 분포 형태) |
밤에 심해지는 통증 | 자다가 깨거나 불면증을 유발할 정도로 심할 수 있음 |
감각 저하 또는 무감각 | 바늘로 찌르는 듯한 느낌, 촉감·온도 감각 저하 |
상처를 느끼지 못함 | 작은 상처가 심각한 당뇨발, 감염, 괴사로 악화되기 쉬움 |
균형감각 저하 | 감각 저하로 넘어지거나 비틀거림 |
✅ ② 자율신경병증 (내장기관 조절 기능 이상)
증상 구분 주요 증상
심혈관계 | 기립성 저혈압, 심박수 변화 저하 |
소화기계 | 위장운동 저하(위마비), 복부 팽만, 메스꺼움, 설사 또는 변비 |
비뇨기계 | 방광 기능 저하 → 잔뇨감, 요실금, 요폐 |
생식기계 | 남성의 발기부전, 여성의 질 건조 |
땀 분비 이상 | 과도한 발한 또는 무한증(땀이 아예 안 나는 상태) |
✅ ③ 국소 신경병증 (특정 신경만 침범)
부위 증상
안면신경(제7뇌신경) | 한쪽 얼굴 마비, 눈 감기 어려움 (벨 마비 유사) |
요추신경 | 한쪽 다리 통증, 허리·엉덩이 방사통, 다리 근육 위축 |
흉곽신경 | 한쪽 옆구리 또는 복부의 날카로운 통증 |
→ 흉부 대상포진과 유사 |
3.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 □ 발끝이 찌릿하거나 저린 느낌이 자주 든다
- □ 발바닥이 화끈거리거나 타는 듯한 느낌이 든다
- □ 밤에 다리 통증이나 이상감각으로 잠에서 깬 적이 있다
- □ 손발의 감각이 둔해지고 상처가 나도 못 느낀다
- □ 자주 소화불량, 배에 가스, 잦은 설사/변비가 반복된다
- □ 소변이 시원치 않거나 발기가 어렵다
- □ 오래 서 있거나 일어날 때 어지럽거나 쓰러질 것 같다
👉 2개 이상 해당되면 당뇨병성 신경병증 의심 → 내분비내과 또는 신경과 상담 필요
4. 진단 방법
검사 설명
신경전도검사(NCV) | 말초신경의 전기 자극 반응을 측정 |
→ 손상 정도 확인 | |
심박수 검사, 기립성 검사 | 자율신경 기능 이상 확인 |
족부 검사 | 진동 감각, 통증 감각, 압박 감각 등 확인 |
혈액검사 | 당화혈색소(HbA1c), 혈당 조절 상태 평가 |
소변검사 | 신장 합병증 동반 여부 확인 |
5. 치료 및 관리 방법
✅ 1) 원인 치료 – 혈당 조절
- 가장 핵심 치료법
→ 당화혈색소를 6.5~7.0% 이하로 유지하면 진행 속도 늦출 수 있음
✅ 2) 증상 완화 약물
약물 종류 용도
프레가발린, 가바펜틴 | 신경통 완화, 이상감각 감소 |
항우울제(듀로세틴, 아미트립틸린) | 통증 완화 + 우울감 개선 |
국소 크림, 패치 | 카프사이신 크림, 리도카인 패치 등 |
→ 국소 통증 완화 |
✅ 3) 생활관리
- 금연, 절주, 운동(유산소+근력)
- 편안한 신발, 발 청결 유지
- 매일 발바닥, 발가락 상처 체크
- 말초순환 개선 위한 족욕, 마사지 병행
결론 요약
✅ 당뇨신경병증은 저림, 감각 저하, 타는 듯한 통증, 발기부전, 위장 문제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며
✅ 말초신경과 자율신경 모두 영향을 받는 만성 합병증입니다.
✅ 치료의 핵심은 혈당 철저 조절, 그리고 신경통 완화 약물과 생활관리 병행입니다.
✅ 조기 발견 시 진행을 늦출 수 있으므로 정기 검진과 감각 이상 자가체크가 필수입니다.
'건강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병비 비교 사이트 알아보기 (0) | 2025.03.27 |
---|---|
기관지염 증상 및 특징, 구분과 치료법 총정리 (0) | 2025.03.27 |
유방 양성 석회화 – 의미, 원인, 진단 및 추적관찰 정리 (0) | 2025.03.26 |
스테로이드 주사 효능과 부작용 –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1) | 2025.03.26 |
연골손상 원인, 증상, 치료방법 총정리 – 무릎 연골부터 어깨, 고관절까지 (1)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