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건조 원인 – 입이 마르는 이유, 단순 탈수 때문만은 아닙니다

구강건조 원인 – 입이 마르는 이유, 단순 탈수 때문만은 아닙니다

입 안이 바싹 마르고, 자꾸만 물을 찾게 되는 구강건조증(입 마름 증상).
단순히 물을 적게 마셔서 생기는 현상 같지만, 호르몬, 약물, 질환, 생활습관 등 다양한 원인이 숨겨져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중장년층 이상에게는 만성 질환의 신호일 수 있어 조기 대응이 필요해요.

이번 글에서는 구강건조증의 원인 6가지와 증상을 유발하는 대표 상황, 그리고 생활 속에서 놓치기 쉬운 습관들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릴게요.


1. 노화와 타액선 기능 저하

나이가 들수록 침샘(타액선)의 기능이 자연스럽게 저하되어 침 분비량이 감소합니다.
특히 50대 이상 여성의 경우, 폐경과 관련된 호르몬 변화로 침샘 기능이 더 빠르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증상 특징

  • 입이 마르면서 말이 꼬이거나 발음이 불분명
  • 혀가 갈라지거나 입술이 잘 트고 갈라짐
  • 음식 맛이 덜 느껴짐

🧓 중장년층 이상이라면 구강건조는 흔한 노화 신호 중 하나입니다.

 

2. 약물 부작용 – 침을 마르게 하는 대표 원인

전체 구강건조증 환자의 약 60~70%는 복용 중인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해 침샘 분비가 억제되면서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구강건조 유발 약물

약물 종류 예시

항우울제, 항불안제 SSRI, 벤조디아제핀 계열 등
고혈압약 이뇨제, 칼슘채널차단제
항히스타민제 알러지약, 감기약 등
수면제, 진통제 졸피뎀, 마약성 진통제 등
항경련제, 근이완제 신경계 약물 전반
항암제, 방사선 치료약물 침샘 자체 손상 가능

💊 약 복용을 시작한 뒤 입이 자꾸 마르기 시작했다면, 복용 중인 약을 확인해보세요.

 

3. 만성 질환 및 전신 질환

구강건조는 단독 증상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전신 질환의 일부 증상일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를 유발하는 주요 질환

  • 당뇨병: 고혈당 상태에서는 침샘 기능 저하 + 탈수 동반
  • 쇼그렌 증후군: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 → 침샘, 눈물샘 공격
  • 갑상선 기능 저하증: 신진대사 저하 → 점막 건조
  • 파킨슨병, 치매 등 신경계 질환: 타액 조절 기능 저하
  • 신부전, 간질환: 대사장애 → 점막 수분 유지력 저하

☑️ 입이 건조하면서 눈도 뻑뻑하거나, 관절통이 있다면 쇼그렌 증후군 검사를 권장합니다.

 

4. 탈수 및 수분 부족

물 섭취 부족, 고온 환경, 과도한 땀 배출, 음주나 카페인 과다 등으로 인해 체내 수분이 부족하면 침 분비량이 감소하면서 구강건조가 나타납니다.

흔한 상황

  • 커피, 차, 에너지음료를 많이 마시는 경우
  • 운동 후 수분 보충이 부족한 경우
  • 땀을 많이 흘리는 여름철 또는 사우나 이후
  • 다이어트 중 물 섭취를 일부러 제한할 경우

💧 입이 마르면 물보다는 전해질 음료, 이온 음료도 도움이 됩니다.

 

5. 호흡 습관 문제 – 입으로 숨 쉬는 생활 습관

평소 코막힘이 있거나 수면 중 코골이가 심한 사람은 무의식적으로 입으로 호흡하면서 입안이 마르게 됩니다.
또한 비염, 알레르기, 비중격만곡증 등으로 인해 코가 항상 막혀 있는 경우도 해당됩니다.

입호흡의 특징

  • 아침에 일어날 때 입이 바짝 마름
  • 입냄새 심해짐
  • 인후통, 혀 갈라짐
  • 자다가 자주 깨거나 코골이 동반

👃 입호흡을 장기간 방치하면 구강 건강은 물론, 전신 건강에도 영향을 줍니다.


6. 스트레스, 불안, 긴장 상태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서 침샘 활동이 억제되어 입이 마릅니다.
특히 불안장애, 발표 스트레스, 시험·면접 등의 상황에서 쉽게 나타날 수 있어요.

관련 증상

  • 목이 마르면서 말문이 막히는 느낌
  • 혀가 들러붙고 입술이 바짝 말라 붙음
  • 심박수 증가, 두근거림 동반

🧠 만성 긴장은 자율신경계를 교란시키며, 반복되면 구강건조가 일상화될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