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아리 근육파열 증상, 단순 알베김과 구분해야 하는 신호들
- 건강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들
- 2025. 5. 13. 13:42
종아리 근육파열 증상, 단순 알베김과 구분해야 하는 신호들
종아리가 '뻐근하다', '근육이 뭉쳤다'고 느껴질 때 대부분은 단순한 피로 누적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만약 갑자기 '뚝' 하는 소리와 함께 극심한 통증이 왔다면 **근육파열(근육 찢어짐)**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특히 운동 중 갑작스러운 힘 전달, 미끄러짐, 점프 착지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정확히 판단하지 않으면 재파열, 만성 통증, 운동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종아리 근육파열의 주요 증상 6가지와 파열 단계별 특징, 대처법까지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1. ‘뚝’ 소리 또는 터지는 듯한 감각
근육파열은 대개 순간적인 폭발성 통증과 함께 발생하며, 끊어지는 느낌이 매우 명확하게 느껴집니다.
- 갑작스러운 점프나 방향 전환 중 ‘뚝’ 소리 느낌
- 터진 것처럼 ‘쾅’ 하는 감각과 함께 급격한 통증 발생
- 순간적으로 다리를 디딜 수 없게 됨
특히 비복근(종아리 뒤쪽 근육)이나 가자미근 부위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2. 국소 통증 및 압통
파열 부위는 **만졌을 때 찢어지는 듯한 통증(압통)**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 눌렀을 때 찌릿하거나 날카로운 통증
- 통증이 종아리 중앙 또는 종아리-무릎 사이에 집중
-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아프거나 욱신거림 증가
단순 근육통과 달리 정확한 한 지점에만 집중된 통증이 특징입니다.
3. 종아리 부기 및 멍(혈종) 발생
근육이 파열되면 그 부위에 출혈과 부종이 동반됩니다.
이는 파열 정도에 따라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수시간~하루 안에 종아리 전체가 붓거나 멍이 퍼짐
- 멍은 보통 파열 부위 아래쪽으로 흘러내림
- 심한 경우 복숭아뼈 근처까지 멍 번짐
멍이나 붓기가 없이 단순한 통증만 있다면 부분 손상 또는 1도 손상 가능성이 높습니다.
4. 걸을 때 통증과 절뚝거림
근육이 손상되면 수축이나 신장 시 통증이 유발되므로, 보행이 어려워지거나 절뚝거림이 발생합니다.
- 걷거나 계단 오를 때 통증으로 인해 다리를 절게 됨
- 발뒤꿈치를 들 수 없거나, 까치발 서기가 어려움
- 종아리 쪽에 힘이 빠지고 지지감이 떨어짐
이는 근육의 기능적 손상이 있다는 명백한 신호입니다.
5. 만졌을 때 움푹 들어간 ‘근육 결손’ 감촉
근육이 부분 또는 완전 파열된 경우, 손으로 만졌을 때 정상 조직보다 움푹 들어간 부위가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손끝으로 찢어진 선 또는 결손 부위 감지
- 일부는 작은 함몰처럼 느껴짐
- 파열이 클 경우 육안으로 비정상적 종아리 모양이 보이기도 함
이 경우 조직검사나 초음파/MRI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6. 통증이 수일째 지속되며 점점 악화됨
단순 근육통은 3~5일 안에 자연 회복되지만, 근육파열은 시간이 지나도 통증이 지속되거나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휴식을 취해도 통증이 계속되고, 뻣뻣함이 남음
- 움직이면 더 심해지는 불안정한 느낌
- 열감, 부기, 멍이 지속되거나 확산
이런 경우 반드시 병원에서 영상 진단 후 치료 계획이 필요합니다.
✅ 종아리 근육파열 증상 단계별 정리
파열 등급 증상 정도 회복 기간 특징
1도 (경미한 손상) | 약간의 통증, 무리 시만 통증 | 1~2주 | 근섬유 미세 손상 |
2도 (부분 파열) | 걷기 어려움, 붓기/멍 동반 | 3~6주 | 근섬유 다량 손상 |
3도 (완전 파열) | 극심한 통증, 기능 상실 | 8주~12주 이상 | 수술 필요 가능성 있음 |
Q&A – 종아리 근육파열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단순 근육통과 어떻게 구분하나요?
→ 근육통은 운동 다음날 뻐근하고 점점 좋아지지만, 근육파열은 통증이 급격히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며 멍이나 붓기 동반이 특징입니다.
Q2. 찢어진 느낌이 났는데 그냥 쉬면 낫나요?
→ 부분 파열은 적절한 압박과 냉찜질, 휴식, 물리치료가 필요하며,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근육 유착, 재손상 가능성이 큽니다.
Q3. 어떤 치료가 필요한가요?
→ 경미한 손상은 RICE 요법(휴식, 냉찜질, 압박, 거상) + 물리치료
중등도 이상 손상은 초음파, MRI 확인 후 보조기 착용 또는 수술 고려 필요
'건강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늑간신경통 증세, 단순한 갈비뼈 통증이 아닙니다 (0) | 2025.05.13 |
---|---|
주의력 결핍 치료법, 약물부터 비약물까지 단계별 총정리 (0) | 2025.05.13 |
엉덩이 통증, 단순 근육통일까? 원인부터 대처까지 총정리 (0) | 2025.05.12 |
요추 추간판 탈출증 장애등급, 어떻게 평가되고 등록되는가? (0) | 2025.05.12 |
당화혈색소 정상치, 혈당 조절의 핵심 지표를 완벽히 이해하자 (0) | 2025.05.12 |